![](https://ullimedu.kr/wp-content/uploads/2021/11/1-01-1.png)
[2023 대입] 현 고2 필독! 서울 주요대 ‘대입 변경사항’
현재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대입이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수능이 약 1년정도 남은 지금 고2 학생들은 최선을 다해
기말고사 및 고3생활을 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오늘 울림에듀에서 고2학생들을 위한
대입가이드에 대해 안내해드리려고 합니다:)
![](http://ullimedu.kr/wp-content/uploads/2021/11/tip014t027728_l-1024x683.jpg)
수도권 대학 정시모집 증가
2023학년도 수도권 대입에서는 정시 모집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또한, 비수도권의 경우, 학생부교과 선발이 증가하면서
최다 선발인원이라는 기록을 세웠습니다.
전체적인 비율로는 수시 비중이 늘어나고,
정시가 줄어가는 추세이지만,
정시 모집인원이 증가한 수도권 대학에
관심을 보이며 수능 준비에 매진하는 학생들도 적지 않습니다.
교육부의 권고에 따라 수능위주 전형의 비중을
40%이상으로 확대한 16개 대학으로 인해
상위권 대학의 정시 선발비율이 증가했기 때문인데요.
이는 곧 대입 선발 전형 중 정시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http://ullimedu.kr/wp-content/uploads/2021/11/tip014t027497_l-1024x683.jpg)
비수도권 대학에서는 학생부교과전형의 비율 상승
비수도권 대학의 대입선발 전형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바로 학생부교과전형입니다.
전체선발인원의 58%에 달하는 반면,
수능 위주 전형은 12.3%정도로 많은 차이가 나는 편입니다.
따라서 목표하는 대학에 따라 전략을 달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목표 대학의 전형계획을 확인한 후,
전체적인 대입변화를 체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학이 선발하는 전형의 비율도 꼼꼼히 살펴봐야 하지만,
세부 변경사항 또한 놓쳐서는 안됩니다.
전년도와 상이한 부분이 있다면 해당 부분이
자신에게 유리하게 작용할지에 대해 살펴보고
취약한 부분들을 보완해나가야 합니다.
![](http://ullimedu.kr/wp-content/uploads/2021/11/tip1140003456_l-1-1024x683.jpg)
수시 교과전형 수능 최저학력 기준 변화는?
주요 대학들이 학생부위주전형
최저학력 기준을 완화 및 강화하였습니다.
고려대학의 교과전형에서는 수능 최저기준을 완화했으나
내신성적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성균관대 교과전형의 경우 수능 최저 기준을 강화해
내신과 더불어 수능 성적의 중요성이 높아졌습니다.
종합전형 중 서울대 지역균형전형과
이화여대 자연계열은 수능 최저를 완화한 모습니다.
![](http://ullimedu.kr/wp-content/uploads/2021/11/twi001t3165730_l-1-1024x450.jpg)
교과전형에 서류평가 도입?
건국대는 교과 100%로 평가했던 2022학년도와는 다르게
2023학년도에서는 서류 평가를 도입했습니다.
교과비중이 70%, 서류평가가 30%로 반영되며,
학생부종합전형과 같은 방법으로 서류평가가 이루어집니다.
그러나 수능 최저 기준은 폐지되었습니다.
경희대는 교과종합평가를 30% 반영하며,
과목별 교과이수 충실도와 학업수행 충실도를 평가하기 위해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교과학습발달상황의 교과성적을
평가 자료로 활용합니다.
고려대, 동국대, 성균관대와 같이 2022학년도 교과전형에서
교과 정성평가와 서류 평가를 반영하는 대학들은
2023학년도에도 이러한 체제를 유지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동국대의 경우 서류평가 비율이 40%에서 30%로 낮아졌습니다.
오늘 울림에듀에서 현 고2들이 필독해야 할
서울 주요대 ‘대입 변경사항’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변경사항을 잘 참고하셔서 전략적인 계획을
세우시길 바랍니다 🙂